모두 떠났다, 그러나 한국 구조대는…

 
모두 떠났다, 그러나 한국 구조대는…
東일본 대지진 참사 현장

 

영국, 프랑스가 떠났다. 러시아와 타이완도 짐을 쌌다. 10여명으로 구성된 몽골 구조대도 18일 주섬주섬 짐을 챙기기 시작했다.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피해자들을 구출하기 위해 투입됐던 각국 구조대원들의 철수가 시작됐다. 여전히 일본 동부의 수많은마을이 지진과 쓰나미가 할퀴고 간 상흔에 신음하고 있건만 후쿠시마 공항에 착륙했던 헬리콥터에 타고 있던 뉴질랜드와 호주의 구조대원 4명이 방사능에 피폭됐다고 소식이 전해지면서 각국 구조대의 귀국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도 미야기현을 중심으로 생존자 수색에 여념이 없는 구조대가 있다. 바로 한국의 긴급구조단이다.
▲ 18일 일본 미야기현 시오가마시의 항구일원에서 우리나라의 중앙 119구조대원들이 지진해일 실종자 수색에 앞서 현장회의를 하고 있다.
시오가마 연합뉴스
 
지난 12일과 14일 잇따라 미야기현 센다이시에 파견된 한국 긴급구조단 105명. 무너진 건물 잔해를 뒤지고 진흙 속을 헤치며 그 어딘가 생명의 끈을 놓지 않고 있을 생존자를 찾아 지금도 센다이시 아라하마와 다가조시 등을 훑고 있다. 방사능 보호복과 제독약 다 가져왔다. 시간에 맞춰 방사능 측정도 하고 있다. 하지만 재난현장을 서둘러 빠져나가는 외국 구조대를 쳐다보면 방사능 피폭에 대한 두려움이 불쑥불쑥 솟는 것도 사실이다. 한국에서 연일 애를 태우고 있는 가족들 얘기를 들으면 마음이 더욱 무거워지기도 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그래서 생존자 구출 가능성이 점점 줄어들수록 함께 줄어드는 게 있다. 방사능에 대한 공포다. “일본을 돕기로 했으면 실제로 돕고 가야 한다.” “이재민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복구활동을 도와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떳떳하게 귀국행 비행기를 탈 수 있다.” 이동성 단장(53)의 말이다. 한국의 119 구조대가 일본에서 쉽게 떠나지 않는 이유가 있다. 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인명구조 기술을 배우기 시작한 한국의 구조대는 일본의 소방청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다. 이번에 그 빚을 제대로 갚아야 한다. 그래서 일본의 지원제의에 손사래를 쳤다. 이재민 수송에 이용하는 45인승 버스 2대도 90만엔(약 1240만원)을 주고 우리 돈으로 지불했다. 차량에 들어갈 경유 3000ℓ와 휘발유 1000ℓ도 한국에서 공수했다. 파손된 차량과 건물 안, 맨홀 아래에서 시신을 발견하면 이들은 진흙 범벅인 작업복의 매무시를 고친다. 현장에 있던 대원들이 모두 모여 거수 경례를 하고 묵념을 드린다. 일본의 관습에 따라 손을 모아 명복을 빌기도 한다. 구조대원들의 정성스러운 시신 수습 모습에 이재민들도 울먹이며 말문을 열기 시작했다. “며느리를 아직 못 찾았습니다.” “회사 동료가 휩쓸려 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꼭 찾아주셨으면 한다.” 어느새 배웠는지 또박또박한 한국어로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전해 오는 주민도 생겨났다. 숙소는 재해 현장과 가까운 미야기현 공설운동장 옆에 있는 보조운장에 설치한 텐트다. 며칠새 강한 눈바람이 날려 텐트 안까지 눈이 불어닥쳤다. 체감온도 영하 10도라고 전한다. 세수도 한국에서 가져간 물티슈로 한다. 이들의 헌신적인 활동은 현지 언론의 집중적인 조명을 받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18일 자에서 한국 긴급구조단원들의 구조 활동을 ‘비통의 수색’이라는 제목으로 소상하게 소개했다. 




  
경술국치 101년. 한국의 젊은이들이 일본의 재난 현장에서 두 나라의 새 역사를 조용히 쓰고 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