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대공습' 조선인 사망자 95명 신원 첫 확인

 

'도쿄대공습' 조선인 사망자 95명 신원 첫 확인

집단수용돼 탈출 못해…청소년도 13명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10만명이 사망한 1945년 3월 미군의 일본 도쿄 대공습 당시 숨진 조선인 일부의 신원을 정부가 처음 확인했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위원장 박인환)는 그간 신고된 강제동원 피해 사례 22만여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공습 당시 사망한 조선인 95명의 신원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도쿄 대공습은 미 육군 항공대 소속 B-29 폭격기 340여대가 1945년 3월9일 밤부터 다음날 새벽에 걸쳐 도쿄 지역에 2천400여t에 이르는 소이탄 폭격을 감행, 10만명가량이 사망한 사건이다.

당시 이 지역에 거주하던 조선인 4만~5만명가량이 피해를 봤고, 이 가운데 최소 1만명이 사망했다는 것이 한일 양국 학계의 정설이다.

위원회는 일본 정부가 제공한 강제동원자 명부 등 자료와 유족 조사를 거쳐 이 가운데 95명의 출신 지역과 도쿄 현지 근무 기간, 소속 작업장 등을 확인했다.

이들은 시바우라(芝浦) 군용 의류품 공장과 이시카와지마(石川島) 조선소 등 군수공장 숙소에 집단 수용돼 폭격 당시 탈출이 불가능했으며 90명이 공습 당시 즉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출신 지역별로는 경북이 74명으로 가장 많았고, 확인된 사망자 중 18세 이하 청소년도 13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1971년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건넨 '피징용자 사망자 명부'에서 120명이 공습 당시 사망했을 개연성이 제기됐지만 공습에 따른 사망자를 공식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위원회는 설명했다.

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일본은 도쿄 공습을 소재로 매년 특집방송을 방영하는 등 원자폭탄 폭격과 함께 대표적 전쟁 피해 사례로 크게 홍보하고 있으나 한국인 사망자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 지역에는 강제동원 피해자뿐 아니라 강제동원 이전 일본에 간 이들 등 조선인이 다수 살았으므로 희생자가 많았을 것"이라며 "그러나 공습 당시 수많은 조선인이 숨졌다는 사실이 한국에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일본에서는 시민단체가 도쿄 공습과 관련, 2007년부터 매년 3월 현지에서 조선인 사망자의 넋을 위로하는 추도식을 열고 있으나 국내에는 관련 행사가 없다.

위원회는 일본 정부에 관련 자료를 요청, 피해자와 유족을 추가로 찾고 외교통상부와 협의를 거쳐 유골 봉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에 확인된 사망자들은 국민징용령에 따라 동원돼 법령상 유골 봉환과 부조금 지급 책임이 일본 정부에 있는 만큼 이 부분을 일본 정부에 적극 요구할 방침이라고 위원회는 덧붙였다.

pulse@yna.co.kr